재테크 썸네일형 리스트형 빗썸 탈퇴하기 빗썸 회원탈퇴는 다소 허술하게도... 담당자 메일 ( contact2@bithumb.com ) 로 세 가지 사항을 보내면 된다고 한다.1. 가입성함2. 가입이메일3. 잔고 삭감 동의 여부 그런데 유난히 탈퇴 시간이 오래 걸린다든지 한다면 고객센터 (1661-5566)으로 전화를 하자. 금방 된다고 한다.(는 필자는 안해봄..) 2018/1/25 추가 3주 가량 걸려 다음과 같은 메일이 왔다. 요약하면, 유선 확인을 해야하니까 전화번호를 남겨라 인데.....그냥 고객센터에 전화하는 것이 빠를지도 모르겠다. 더보기 빗썸에서 인증 안될 때 한국 대표 가상화폐 거래소 빗썸. 위와 같이 빗썸에서 본인인증 정보와 일치하는 회원정보가 없다고 나올 때... 회원가입시 실명으로 하지 않아서일 가능성이 높다. 회원정보에서 수정하고 짜잔 넘어가면 좋겠지만......그렇게 되지 않는다.. 빗썸 홈페이지에서는, 회원 탈퇴 후 재가입하라는 안내문만 덩그러니..(뭐가 이렇게 허술해!!) 더보기 상해 주가 지수 실시간 확인하기 네이버나 다음에서 상해 지수를 확인하면 30분 지연해서 알려준다. 다른 증권사에서도 마찬가지. 상해 지수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려면 상해 주식 거래소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된다. 주소는 다음과 같다. http://english.sse.com.cn/home/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왼쪽 부분에 그림과 같이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더보기 왕초보도 따라하는 펀드투자하기(3) - 펀드에 붙은 라벨의 뜻은? 본인과 같이 음료수나 빵을 사 본 사람이면 알겠지만, 나는 제품 뒤에 붙어있는 라벨을 항상 유심히 본다. 여기에 뭐가 들어있는지, 열량은 어떻게 되는지, 또 원산지가 어디인지 등등 많은 정보를 알 수 있기 때문에다.(나는 active한 소비자라구!!) 이와 비슷하게 펀드에도 이런 라벨이 붙어있다. 식품과 같이 이 펀드가 어떻게 구성되어있고, 그동안에 어떻게 운용되었으며 그의 결과는 이러저러하다~ 라는 것을 알려준다. 이런 것은 금융사나 운용사보다 지난 시간에 소개한 펀드닥터(funddoctor.co.kr) 같은 곳에서 훨씬 상세하고 다양하게 볼 수 있다. 자 그럼 아래의 그림을 보자. 실제 펀드닥터에서 한 펀드의 정보를 살펴본 그림이다. 뭐 이렇게 모르는 말도 많고, 숫자는 또 왜이리 많아? 라고 지레 .. 더보기 왕초보도 따라하는 펀드투자하기(2) - 뭔 펀드 종류가 이리 많아? 기분이 꿀꿀하여 (잉여력 폭발로 인해) 아무 것도 손에 잡히지 않는 관계로 포스팅을 계속 해 보겠다. 첫 글에선 펀드가 뭐고 어떤 장/단점이 있는 지 알아보았다. 오늘은 펀드의 종류에 대해 소개해볼까 한다. 각설하고, 백문이 불여일견 이라 했다. 아래 그림을 보자. 위 그림은 각종 펀드들에 대한 상세한 정보를 무료로(몇몇 유료 서비스도 있다) 제공하는 펀드닥터(www.funddoctor.co.kr) 이다. 대유형에 열릭 박스를 보자. 크게 7가지로 분류해놓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요약해보면, 주식에 중점 투자를 하는 주식형, 채권에 중점 투자를 하는 채권형, 그 중간의 혼합형, Monetary Markett Fund의 약자인 MMF, REITs 라 불리우는 부동산형, 그리고 절대수익추구형 으로 나눌 수 있.. 더보기 왕초보도 따라하는 펀드투자하기(1) - 펀드가 뭔가요? 돈을 불려보겠다는 마음을 가지고 처음 펀드를 시작할 때 가장 막막한 건 어떤 펀드를 어떻게 골라야 하는지 하는 법이다. 종류는 많고 이름도 다양하고, class 이건 뭐지?(먹는건가?).. 기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용어가 무엇을 가리키고 있는지, 또 그것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보를 아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고, 또 무엇보다 현대인의 만성질환인 "귀찮음" 을 넘을 수 있을 지도 의문이다.(그렇게 귀찮아서 돈관리를 잘 하겠냐만은..) 아무튼, 그래서 지금 쓰고자 하는 것은, 용어는 하나도 모르겠고, 일단 고! 를 외치는 왕초보 투자자들을 위한 지침이다. 물론 이 지침들이 만능 Theorem 이면 좋겠지만 딱히 그렇지도 않다.(Every rule has exceptions라고.. 더보기 펀드가입 + ELS 청약 내 짧은 인생 가운데 가장 많은 돈을 가장 단기간에 쓴 듯 싶다. (물론 투자라는 개념이지만) 펀드 두 종류와 ELS에 청약했다. 펀드는 절대-_-망하지 않을 대기업 펀드 하나와 Index 펀드 하나를 골랐고 ELS의 경우 주가연동으로 40% Up and Out Call 원금보장형 상품으로 골랐다. 전체 Portfolio에서의 비중은 ELS 30%. 펀드는 적립식이므로 뭐라 할 말은 없지만 지금으로라면 월 수입의 20%정도 되는 듯 싶다. 펀드 두 개는 3년만기이고 ELS는 1년만기. 목표수익률은 17%. 투자의 시작이다. (CMA를 제외한다면) 더보기 재테크 공부 재―테크 (財tech)【명사】 ‘재무 테크놀로지’의 준말. 책과 가까워질 시간이 많다는 것은 도서관에서 일하면서 얻은 큰 소득이다. 수많은 책들 중 내 눈에 가장 먼저 들어온 것이 재테크에 관한 책이다. 그런 마음가짐으로 한 권, 한 권 읽기 시작했다. 현재 대략 7~8권 가량의 재테크책을 읽었는데 이제 당장 무엇을 해야할 지 대충 감이 왔다. (0) 청약통장 (가입조건에 따르면 청약부금이 가능, 가입이 빠르면 빠를 수록 좋은 상품) (1) 변액연금보험 + 변액유니버셜보험 + 국민연금 + @(이 역시 빠를 수록 좋은 상품, 국민연금은 학교에서 50%지원해줌) (2) 손해보험 + 생명보험(중복되지 않게, 계약기간 내에 특약추가가 가능한 상품으로) (3) 인덱스펀드(일반펀드보다 운용료 저렴 + 꾸준하고 안정.. 더보기 이전 1 2 3 다음